다양한 폴리머 재질만큼 각각의 고유한 특성이 있으며, 이를 고려한 설비의 선택, 설계, 운전 조건 도출 등이 필요합니다.
당사는 pilot test를 적용하여 고객이 필요로 하는 조건으로 테스트 및 설계 인자 도출이 가능하며, 충분한 적용 사례를 바탕으로 최적의 공정 설계가 가능합니다.
- 고온으로 건조시 제품 물성이 변하거나, 제작 완료시 투명도가 떨어지거나, 변색될 우려가 있어서 적정 운전 온도(건조)가 지켜져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.
- 내부 결정수 및 내부 수분, 용매의 제거가 쉽지 않아서, 일정 온도에서 오랫동안 건조가 필요하기도 합니다.
- 제조 공정 단계 중 뭉쳐지는 성질이 있어, 빠른 건조, 냉각 등의 처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.
- 부착성이 대부분 없으나, 고온 및 정전기 등으로 인해 부착성이 발생하기도 합니다.
- 건조시 유동층 건조법이 적용되나, 펠렛형식으로 성형되는 등 입자가 클 경우에는 진동 유동층 건조기 혹은 DMD(Double Mixing Dryer)가 적용되기도 합니다.
- 섬유상으로 분급(미분 혹은 over size 제거)이 어려운 경우가 많으며, 적절한 분급 방법을 제안할 수 있습니다.
다양한 레퍼런스를 확보하여, 최적 운전 조건 제안이 가능하고, 과설계 및 설계 미달의 사례가 없으며, 필요한 capacity를 효율적 에너지 활용을 통해 구현할 수 있습니다.